한희철의 '두런두런'1160 직행버스 풍경 귀래를 돌아 원주로 나가는 직행버스. 남은 자릴 하나 두고 노인네 몇 분이 싸우듯 양보한다. 백발에 굽은 허리, 제법 긴 수염에 허전하게 빠진 이. 그만그만한 노인네 몇 분, 서로가 서로에게 측은한지 서로를 잡아당긴다. 일어날 젊은이 없는 직행버스가 빈자리 하날 두고 힘겹게 양아치 고개를 넘는다. - 1991년 2021. 11. 8. 강아지 두 마리 안갑순 속장님이 몸져누워 있다는 소식을 듣고 끝정자로 내려갔습니다. 아직껏 가슴이 뛴다는 속장님 얼굴은 많이 수척해 있었습니다. 강아지 두 마리가 죽었기 때문입니다. 그깟 강아지 두 마리에 웬 수선이냐 할진 몰라도 얘길 들으니 그럴 만도 했습니다. 일 년 내내 번 돈을 아껴서 집사님 내외분은 강아지 두 마리를 샀습니다. 쉽게는 구할 수 없는, 사람 주먹보다도 작은 귀한 강아지였습니다. 인형같이 생긴 강아지 두 마리를 방안에 키우며 며칠 동안은 고놈들 귀여운 맛에 하루해가 짧았습니다. 들인 거금이 아깝지 않을 만큼 강아지들은 귀여움 투성이였습니다. 자식 없이 살아가는 노년의 외로움을 그렇게 이겨내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런데 바로 사고가 나던 날, 마침 겨울 볕이 따뜻하기에 강아지 먹일 우유를 데우는 동안 .. 2021. 11. 6. 엄마 젖 “아무리 추운 날 낳다 해두 송아질 방으로 들이면 안 돼유. 그러믄 죽어유. 동지슷달 추운 밤에 낳대두 그냥 놔둬야지, 불쌍하다 해서 군불 땐 방에 들이믄 외려 죽구 말아유.” 송아지를 낳은 지 며칠 후 속회예배를 드리게 된 윗작실 이식근 성도님은 이렇게 날이 추워 송아지가 괜찮겠냐는 질문에 의외의 대답을 했습니다. “송아지는 낳아 어미가 털을 핥아 말려 주믄 금방 뛰어 다녀유. 낳자마자 엄마 젖을 먹는데 그걸 초유라구 하지유. 그 초유를 먹으믄 아무리 추운 날이랙두 추운 걸 모른대유. 초유 속에 추운 걸 이기게 해 주는 뭔가가 들어 있대유.” 웃어른께 들었다는 이야기를 마저 들려주었습니다. 아무리 날이 추워도 엄마 젖을 빨면 추위를 이길 수 있다는 말이 신기하고도 귀했습니다. 예전 같으면 모두가 모유를.. 2021. 11. 5. 치악산 화가 치악산 기슭, 혼자 사는 화가를 만났습니다. 싸리 울타리 반쯤은 기운 허름한 집, 그가 살고 있는 집은 그랬습니다. 쌓인 눈 시퍼렇게 빛나는 좁다란 밤길을 휘휘 돌아 막바지처럼 선 집 앞에 섰을 때, 폐가인 듯 어둠뿐인 집은 아무렇게나 주저앉아 잠든 것 같았습니다. 한쪽 흙에 사는 이유가 시로 적혀 걸린 문을 열고 집주인이 나왔을 때 집주인 또한 집과 다르지 않아 허술하기는 마찬가지였습니다. 온갖 것의 무장해제, 편안했습니다. 속살 투명한 발가벗은 여자와, 울고 울다 숨이 멎은, 뒤로 젖힌 얼굴엔 허구렁인 듯 입 안 목젖이 가득한 그림을 보며 그게 모두 그의 한 모습임을 헤아립니다. 이미 울음은 가둘 수 없다는 듯 액자도 없이 덜렁 종이로만 걸렸습니다. 겨울밤, 촛불 하나만 켜도 방안의 물이 얼지 않는다.. 2021. 11. 4. 어머니의 가르침 온몸에 땀이 젖어 잠이 깰 때가 있었다. 흉몽을 꿀 때면 언제나 그랬다. 대개가 새벽녘, 그럴 때마다 난 새벽밥을 짓고 있는 엄마에게로 달려갔다. 새벽기도회를 다녀와 새벽밥을 짓는 엄마는 늘 찬송을 부르셨다. 내 하루는 엄마의 찬송소리로 시작되곤 했다. 엄마에게 가 꿈 얘기를 하면 늘 그러셨다. 기도하고 자라고. 내 유년의 생활을 지나는 굵직한 선 하나는 기도에 대한 엄마의 가르침이었다. 그 굵직한 선은 지금의 나에게까지 닿아있다. 흉몽, 차라리 꿈이었음 싶은 아픈 현실들. 그걸 이길 수 있는 건 기도뿐이다. 기도만이 그걸 받게 해준다. 땀으로 온몸을 적신 내 손을 잡아주며 가르쳐 주신 어머니의 기도. 그 기도는 지금도 그렇게 가르친다. - 1991년 2021. 11. 3. 새들에게 구한 용서 펑펑 싫도록 눈이 옵니다. 산으로 둘러싸인 동네가 솜이불 뒤집어 쓴 듯 조용합니다. 옹기종기 모인 짚가리가 심심한 빈들, 새들만 신이 났습니다. 온 세상 조용한데 니들만 신났구나, 빈정거리듯 돌아서다 다시 돌아서 죄 지은 듯 새들에게 용서를 빕니다. 새들은 신이 난 게 아니었습니다. 흰 눈 속에 파묻혀 사라져버린 먹을거리, 먹이를 찾아 애가 탔던 겁니다. 늘 그러했을 내 눈, 쉽게 바라보고 쉽게 판단하고 말았을 지금까지의 눈, 화들짝 부끄러워 눈 덮인 빈들, 소란한 새들에게 용서를 빕니다. - 1991년 2021. 11. 2. 종소리 초등학교 5학년이었던 어느 날, 학교가 파하자마자 우리는 월암리로 갔다. 작은 고개 큰 고개 제법 높은 고갤 두 개 넘어야 친구네 집이었다. 친구 집에 도착하자마자 바가지, 타래박, 양동이, 삽, 채 등을 챙겨 들고 논으로 갔다. 웅덩이를 푸기로 했던 것이다. 우린 그러길 좋아했다. 산 쪽으로 붙어있는 포도밭 아래 제법 큰 웅덩이였다. 조금씩 줄어드는 물을 웅덩이 속 수초로 확인하며 우리는 열심히 물을 펐다. 놀란 고기들과 새우들이 물 위로 튀었다. 한참 만에 바닥이 드러났다. 우리는 바지를 걷어 부치고 웅덩이 속으로 들어갔다. 미꾸라지, 붕어, 우렁, 새우 등 웅덩이 속엔 온갖 것들이 많았다. 신나게 웅덩이를 뒤지고 있을 때 멀리서 종소리가 들려왔다. 은은한 종소리였다. 그날이 수요일이었고, 그 종은 .. 2021. 11. 1. 나중 된 자 ‘먼저 된 자가 나중 되고 나중 된 자가 먼저 된다.’ 하였는데 이상옥 성도님이 그렇습니다. 하나님을 믿기로 작정하고선 성경책을 어디서부터 읽으면 좋겠느냐고 며느리에게 물었답니다. 아버님의 신앙을 위해 오랜 시간 눈물로 기도하던 며느리는 잠언부터 읽으시라 권했다고 합니다. 유교정신에 투철한 분임을 알기에 잠언이 친숙하리라 여겼던 것입니다. 공교롭게도 며느리와 통화한 그날 아침 잠깐의 실수로 안경테를 부러뜨렸는데, 이상옥 성도님은 테 부러진 안경을 한쪽 손으로 붙잡고 잠언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너무도 귀한 말씀에 ‘취한 듯’ 잠언을 다 읽고 나니 시간이 새벽 두시 반, 잠이 오지 않아 내친 김에 사도신경까지 다 외우고 나니 한밤이 지나갔다는 것입니다. 말씀을 사모하는 믿음이 귀하고, 조금 더딘 출발을 주님.. 2021. 10. 31. 얘기마을 운전하던 형이 몇 가지 물건을 사느라 봉고차가 문막에 섰을 때, 버스를 기다리던 몇 사람이 다가와 같은 방향이면 같이 갈 수 있겠느냐 물었단다. 초행길이라 잘 모른다 하자 사람들은 어디까지 가느냐고 다시 물었다. 그때 할아버지는 “얘기마을까지 갑니다.” 대답했다. 얘기마을이 어디에 있는지 사람들은 몰랐다. “그런 마을 없는 데요.” 갸우뚱 고갤 돌렸다. 지난번 할아버지 목사님께서 단강을 찾아오실 때 있었던 일이다. 그 얘기를 들으며 우린 배를 잡고 웃었다. 주보 을 받아보고 계신 할아버지께선 얘기마을이 마을 이름인 줄로 알고 계셨던 것이다. 몇몇 사람들의 가난한 마음 한구석 자리뿐, 지도 위엔 그 어디에도 얘기마을 없답니다. 할아버지. - 1989년 2021. 10. 30. 이전 1 ··· 3 4 5 6 7 8 9 ··· 1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