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꽃자리> 출간 책 서평77

<말씀 등불 밝히고> 북토크(4) https://www.youtube.com/watch?v=xixSjzCEquY 2023. 5. 30.
<말씀 등불 밝히고> 북토크(3) https://www.youtube.com/watch?v=I1OfYJIi3kk&t=26s 2023. 5. 30.
<말씀 등불 밝히고> 북토크(2) https://www.youtube.com/watch?v=H-p7xSehnPI 2023. 5. 30.
<말씀 등불 밝히고> 북토크(1) https://www.youtube.com/watch?v=eOz95rnVEXE 2023. 5. 30.
오랫만에 성서를 주제로 쓴 책다운 책을 읽었다 곽건용 목사(이하 저자)는 ‘여는 글’을 교회와 성당에서 성서 완독 권고를 받는 교인들이 레위기와 성막 제작 방법을 지루하게 서술하는 출애굽기 25장의 문턱을 넘지 못하고 매년 좌절하는 이야기로 시작했다. 성서 통독의 문턱을 넘지 못하게 만드는 제사장이나 성막 제작자들에게 필요한 내용은 헌법과 다르지 않는 성서 본문이 아니라 일반법이나 그 법의 시행령이나 시행 규칙에 따로 담았다면 어땠을까, 라는 엉뚱한 생각이 머리를 스쳤다. 전문적인 내용을 헌법에 포함시켜 얻는 이득보다는 성서가 너무 지루하고 따분해 매번 교인들이 ‘작심삼일’하므로 잃는 피해가 더 커 보이기 때문이다. 현 정부의 시행령 정치에 지치다 보니 시행령 성서까지 떠오르는 걸까. 표정과 말과 제스처만 보자면 우리 개신교 목사나 신학자들의 겸손엔.. 2022. 10. 19.
그 힘의 이름은 사랑이다 아우구스티누스는 자기 삶을 돌아보며 ‘행복을 피하면서 찾았다’고 고백한다. 행복에 대한 갈망을 품고 살면서도 행복을 한사코 피하는 아이러니. 어쩌면 존재 자체이신 하나님이 아닌 다른 것들에 마음을 빼앗긴 채 사는 모든 이들의 상황인지도 모르겠다. 행복을 추구하지만 우리 내면과 주변을 가득 채우고 있는 것은 혼돈과 공허와 어둠이다. 밑도 끝도 없는 불안이 확고하게 우리를 잡아채 절망의 심연으로 내동댕이친다. 불안의 얼굴을 보지 않으려 사람들은 분주함 속으로 도피한다. 그런데 분주함은 우리가 마땅히 보아야 할 자기 내면의 실상을 보지 못하게 한다. 되고 싶은 나와 현실의 나의 간극은 점점 커진다. 이런 불모의 낙원에서 벗어날 길이 없는가? 루미는 일렁이는 버릇이 든 물은 바다에 이르러야 잠잠해지듯이, 거칠어.. 2022. 6. 14.
아득한 시절의 자전적 비망록 이 소박한 자전적 비망록은 저자가 자의식이 생긴 대략 너덧 살 어린아이 때부터 서른에 이르기 전 몸이 겪어낸 자잘한 일상의 기록이다. 어설프고 어리숙했기에 돈키호테의 막무가내 열정으로 낯선 세계와 부대끼길 두려워하지 않던 시절이었다. 키와 몸무게가 늘어나면서 정신도 꾸준히 자랐겠지만 어린 시절과 젊은 시절 저자를 둘러싼 사람들과 만나고 엮인 인연은 생에 다채로운 무늬와 얼룩의 흔적을 남겨놓았다. 오늘도 단조로운 일상이 반복되고 그 권태 속에 스트레스가 일용할 양식으로 넘쳐날 때, 또 원치 않는 억압적 상황에 부지불식간 포위되어 치일 때 저자는 흔적으로 남은 그 아득한 시절의 천연 공간으로 연거푸 피정을 떠나곤 한다. 그러면 다시 과잉 거품 속에 더께 진 내 욕망의 실체가 보이고 세월 속에 오래 풍화된 내.. 2022. 5. 3.
왜 하필 예레미야인가? 어둠이 기승을 부리고 있다. 여기에 가담하거나 또는 앞장서고 있는 세력 가운데 하나가 한국의 교회들이다. 물론 모두가 그렇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하나님의 뜻으로 서야 할 교회가 세속의 권력과 손을 잡고 역사를 가로막고 있는 것은 명백히 죄악이다. 선지자의 목소리를 내야할 이들이 권력과 재물의 옹호자가 되고 있고, 가난하고 힘없는 백성들에게 난폭한 자들의 편이 되고 있다. 이들은 한마디로 우상숭배자들이다. 하나님은 우상숭배를 가리기 위한 장식으로 존재할 따름이다. 하나님의 이름을 욕되게 하고 있는 자들이다. 이 시대의 아픔을 자신의 아픔으로 삼고 하나님의 뜻을 깊게 새기고 있는 김기석 목사가 욥(《아! 욥》)에 이어 예레미야에 대한 책을 냈다. 역시 기대 이상이다. 문학도이기도 한 그가 써내려가는 글들.. 2022. 4. 12.
“만 가지를 쳐내고 한 꽃을 얻는다” 삼 십여 년 전 어느 날 저녁, 불현듯 한희철 목사가 계신 단강을 찾아간 적이 있다. 연락도 없이 찾아간 길, 창문을 통해 본 집안은 컴컴했고 문은 잠겨 있었다. 그러나 같이 간 친구와 나는 낭패라고 생각하지 않았던 것 같다. 시골집다운 허술한 자물쇠를 부수고 기어이 집 안으로 들어갔으니 말이다. 주인 없는 집에 들어가 한 일이라고는 책꽂이에 꽂혀 있던 책 한 권과 단강교회 이름이 새겨진 달력을 가지고 나오면서, ‘왔다 갑니다’ 메모 한 장 써놓은 것뿐이었다. 부수고 들어간 자물쇠를 고칠 도리가 없어서 살짝 문을 닫아두고 집으로 오는 길, 나는 알고 싶었다. 한희철의 ‘내가 선 이곳은’ 도대체 어떤 곳인지, 그에게서 솟아 나오는 샘물은 어떤 것이기에, 자기가 선 곳을 숲속 깊은 곳의 작은 옹달샘으로 만들.. 2022. 4.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