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19/06/223

그끄저께와 그글피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173) 그끄저께와 그글피 김중식의 시를 읽다가 ‘그끄저께’라는 말을 만났다. 그끄저께라는 말은 마치 광 속 어딘가에 처박혀 있다가 우연히 나타난 것처럼 다가왔다. 하지만 먼지를 닦아내듯 생각을 가다듬자 이내 익숙한 표정을 지었다. 어릴 적 어렵지 않게 쓰던 말이었다. 사전에서는 그끄저께를 ‘그저께의 전날. 오늘로부터 사흘 전을 이른다.’고 설명한다. 재재작일(再再昨日), 삼작일(三昨日)이라는 유의어도 있는데, 한문이라 그런지 영 낯설다. 손가락을 꼽듯 ‘오늘’부터 하루씩을 거꾸로 불러본다. 오늘-어제-그끄제(그제)-그끄저께(그끄제), 마치 신나게 놀이를 하던 아이들이 새로운 놀이를 위해 줄을 서듯 아무 혼란도 없이 시간이 한 줄로 늘어선다. 재미있다 싶어 이번엔 하루씩 앞으로 가.. 2019. 6. 22.
어느 예배당이 기도로 하루를 시작하지 않을까만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171) 어느 예배당이 기도로 하루를 시작하지 않을까만 환우들의 회복을 위한 특별새벽기도회를 마치는 날, 중풍병자를 고치신 말씀을 나눴다. 중풍병자를 메고 온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자를 고치신 일과, 병을 고치시기 전 죄 사함을 먼저 선포하심으로 병의 근원을 고치신 은총을 생각했다. 몸과 마음의 병을 깨끗하게 고쳐주시든, 바울처럼 몸의 가시를 주님의 뜻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믿음을 주셔서 내가 약할 때가 곧 강할 때임을 일러주시든, 더 이상 병이 나를 짓누르지 못하도록, 병의 사슬에서 벗어나 자유를 누릴 수 있도록 은총 내리시기를 바라는 마음이 간절했다. 비록 우리의 기도가 요단강에서의 한 번의 목욕에 해당할지라도 하나님의 시간을 신뢰하며 나머지 기도를 간절함으로 이어가자.. 2019. 6. 22.
그리움이 담긴 다리 한희철의 하루 한 생각(170) 그리움이 담긴 다리 영주에서 말씀을 나누던 둘째 날 점심을 안동에서 먹었다. 경북북지방은 네 개의 시와 여섯 개의 군이 모여 이루어져 있어 굉장히 광범위했다. 마침 우리가 찾은 곳이 월영교 앞, 점심을 먹고는 월영교 주변을 산책하는 즐거움을 누렸다. 월영교(月映橋)는 2003년에 개통된 387m 길이의 다리로, 국내에서는 가장 긴 목책 인도교이다. 안동댐 건설로 수몰된 월영대를 옮겨온 사연과, 월곡면(음달골)이라는 지명을 참고로 해서 시민들이 지은 이름이란다. 달빛이 비치는 다리라니, 다리의 모양도 이름도 시적이다 싶었다. 다리 한가운데에 자리 잡은 월영정(月映亭)은 강물과 바람과 햇살이 맘껏 어울리는 곳, 난간에 둘러앉아 정담을 나누는 사람들의 모습이 그렇게 정겨워 보일.. 2019. 6. 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