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강유철의 '음악정담'

‘할렐루야’ 유감

by 한종호 2015. 3. 23.

지강유철의 음악 정담(13)

 

‘할렐루야’ 유감

 

 

1.

<할렐루야>는 신승수 감독의 1997년 영화입니다. 주연 배우 박중훈에게 백상예술대상 남자최우수연기상을 안긴 작품이지요. 개봉 때 봤지만 명절 특집으로 TV에서 다시 틀어주면 채널을 돌리지 않고 또 보던 영화입니다. 전과 3범으로 출소한 양덕건(박중훈)은 교통사고 피해자인 한 목사의 지갑에서 ‘이 편지를 갖고 오면 개척 교회 지원금 1억 원을 준다’는 내용에 혹해 한 대형교회를 찾아갑니다. 그리고는 아슬아슬하게 2주간 동안 목사 행세를 합니다. “믿음, 소망, 사기… 그 중에 제일은 사기니라”는 카피가 눈에 띄었던 포스터가 아직 기억납니다.

 

 

 

 

 

인터넷을 검색하던 중 이 영화가 크리스천들의 반발 때문에 풍자로 일관한 결말 부분에서 주인공이 회개를 하도록 각본을 수정했고, 그래서 개신교로부터 큰 후원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읽었습니다. 그런 일이 실제 있었는지 여부는 모르겠지만 말입니다. 폭로 수위로 따지자면 <밀양>을 따라갈 수 없을지 모르겠으나, 우리나라 영화중에서 개신교, 특히 대형교회를 이보다 더 신랄하게 풍자한 영화가 또 있는지 저는 모릅니다. 물론 저는 개신교를 신랄하게 풍자한 것에 대해선 불만이 없습니다. 그러나 제목이 왜  ‘할렐루야’였는지는 궁금합니다. 맥락을 한참 벗어난  ‘할렐루야’였기 때문에 신승수 감독의 영화 제목 할렐루야에 대해선 유감입니다.

 

 

2.

신앙 연조가 아주 짧다면 모를까, 할렐루야가 하나님을 찬양하라는 뜻을 지닌 히브리어라는 정도는 다 압니다. 찬송가나 성가대 가사에 빈번하고, 지금도 여전히 설교에서 할렐루야를 즐겨 사용하는 목사들이 좀 많아야지요. 신앙생활을 오래했다면 시편 처음이나 마지막, 또는 처음과 마지막을 할렐루야로 시작하여 끝내기 때문에 할렐루야 시편이란 별명으로 통하는 시편의 존재를 알 것입니다. 그러나 할렐루야가 구약의 시편과 신약의 요한계시록에만 나온다는 사실을 알고 나면 놀랄 분이 적지 않지 싶습니다. 성경에서 할렐루야는 신구약 모두 예배와 관련됩니다. 유대인들은 시편 113-118편의 할렐루야 시편을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 수전절에, 146-150편의 할렐루야 시편을 아침 예배 때 불렀습니다.

 

한국 개신교에서는 할렐루야가 엉뚱한 맥락에서 더 자주 쓰입니다. 민망한 경우 중 하나는, 일부 목사들과 교인들의 입에서 때와 장소를 가리지 않고 튀어나오는 할렐루야입니다. 본인들은 할렐루야!’로 인사하는 것이 즐거운지 모르겠으나, 시장버스거리 등에서, 더군다나 초면의 사람이 악수를 청하며 던지는 할렐루야는 여간 괴로운 게 아닙니다. 예배나 부흥회 때 교인들로부터 보다 큰 아멘으로 청중의 호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목사들이 남발하는 할렐루야가 가장 최악이긴 하지만 말입니다.

 

안녕에 해당하는 성서적 단어인 샬롬이나 에이레네또는 마라나타가 있음에도 할렐루야를 예배가 아닌 일상에까지 무한 확대를 하려드는 신자들은, 그게 목사든 장로든 권사든 집사든 황당하기 짝이 없습니다. 이 또한 유감스런 할렐루야입니다.

 

3.

1685년에 태어나 평생을 독신으로 살다가 일흔네 살에 죽은 헨델은, 당대 음악의 주도권을 쥐고 있던 이태리 유학파였고 6-7개 언어를 자유롭게 구사하며 런던을 본거지로 활동하던 코즈모폴리턴이었습니다. 위대한 많은 예술 작품이 그렇듯 <메시아>도 헨델이 가장 어려운 시절에 작곡되었습니다. 동갑내기 바흐와 달리 그의 활동무대는 교회가 아니라 극장이었습니다. 헨델은 누구보다 음악의 대중화에 매진했던 작곡가였고, <메시아>는 예배가 아니라 극장에서 연주할 것을 의식하며 쓴 작품이었습니다. 헨델이 살아 있을 동안 <메시아>는 단 한 차례의 예외 없이 모두 병원이나 콘서트홀에서 연주되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메시아>를 들을 때 이 점을 간과하지만 말입니다.

 

헨델의 불행은 1728년인 그의 나이 43살부터 시작되었습니다. 그 해에 존 페푸시가 영어로 작곡한 <거지 오페라>가 엄청난 흥행에 성공하면서, 16년 동안 영국에서 사랑받던 헨델의 40편이 넘는 이태리 오페라는 관심 밖으로 밀렸습니다. <거지 오페라>는 귀족들과 정치가들을 풍자하는데다 쉽고 재미까지 있어서 인기폭발이었습니다. 당시의 런던은 금융업이 성행하고 주식 투자 열풍이 불고 있었습니다. 펀딩을 받아 극장 임대료를 지불하고 가수들과 오케스트라 단원들을 먹여 살려야 했던 헨델은 계속적인 흥행 실패를 못 견디고 끝내 1737년에 1200파운드의 부채 때문에 파산했습니다.

 

 

 

 

 

 

그 여파로 헨델은 뇌일혈로 쓰러져 오른쪽 반신불수가 되었습니다. 그래서 병 치료를 위해 독일 아헨으로 갔습니다. 의사는 하루 두 시간의 온천 치료를 권했지만 헨델은 그보다 네다섯 배 더 온천에서 나오지 않았습니다. 그런 끈질긴 노력 끝에 헨델은 기적적으로 완치되어 173710월 런던으로 돌아왔습니다. 그 이후 헨델은 바보가 아니었기 때문에 오페라가 아니라 오라토리오에 집중했습니다.

 

그가 평생 쓴 32곡의 오라토리오 중 대다수는 1737년 이후의 작품입니다. 오라토리오를 집중적으로 쓰기 시작한지 4년 만인 1741, 헨델은 <메시아>로 완벽하게 재기에 성공했습니다. 이때 그의 나이 쉰여섯이었습니다. 헨델은 822일부터 914일까지 불과 24일 만에 53곡에 연주시간이 2시간을 훌쩍 넘기는 <메시아>를 끝냈습니다. <더블린 저널>1742413() 정오에 아일랜드의 수도 더블린에서 열렸던 헨델 지휘의 <메시아> 초연을 이렇게 보도했습니다.

 

“최고의 비평가들은 <메시아>를 가장 완벽한 작품으로 간주했다. 극도의 찬사를 보낸 청중들에게 헨델의 음악이 제공한 극도의 황홀한 기쁨을 표현하기 위하여 다음의 말들이 적절하다: 가장 고상하며, 웅장하고 감동적인 가사에 붙여진 숭고하고 장엄하며 부드러운 음악은 우리의 황홀한 가슴과 귀를 도취시키고 매료시켰다. (중략) 연주회장에는 약 700명의 청중이 모였으며, 고귀하고 경건한 자선단체를 위하여 모금된 수익금액의 총액은 4백 파운드였으며, 세 개의 자선단체에게 각각 127파운드가 전달되었다.”(도널드 버로우, 김지순, 《헨델의 메시아》, (동문선), p. 40-41.)

 

헨델은 1742년의 더블린 초연 때부터 18년 동안 32회나 <메시아>를 지휘했습니다. 그가 이 곡에 대해 얼마나 애정을 가지고 있었는지 짐작할 수 있는 대목입니다. 헨델의 모든 <메시아> 공연이 가난한 이들을 위한 자선 공연이었습니다. <메시아>는 헨델이 세상에서 마지막으로 지휘한 작품이기도 합니다. 175946일 코벤트 가든 극장에서 이 곡을 연주한 뒤 쓰러져 일어나지 못하고 꼭 일주일 뒤에 죽었거든요. 헨델은 죽은 후 영국 왕과 위인들이 잠든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습니다. 거기 세워진 기념동상의 헨델은, <메시아> 45내 주님은 살아계시니란 소프라노 아리아 악보를 들고 서 있습니다.

 

 

 

 

 

헨델이 죽고 난 후 <메시아>는 명실상부, 그를 대표하는 작품 대접을 받고 있습니다. , 구교를 가리지 않고 <메시아>는 전 세계의 성탄절이나 부활절에 연주됩니다. 영국에서는 매년 <메시아>가 정기 공연되는 전통이 생겼습니다. 베토벤의 9<합창> 교향곡이나 요한 슈트라우스 1세의 <라데츠키 행진곡>만큼이나 <메시아> 또한 송년이나 교회 절기의 단골손님이 된 것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19322월에 정동교회 성가대가 헨델의 할렐루야를 합창했다고 <동아일보>가 보도했더군요.

 

<메시아> 중에서 가장 유명한 44번 합창곡 할렐루야가 연주될 때 모두가 일어서야 한다는 전통을 이젠 거의 모두가 압니다. 영국 왕이 이 곡을 듣다가 너무 감동을 받아 그 자리에서 벌떡 일어난 이후 사람들이 이 곡이 연주될 때 모두가 일어서게 된 것입니다. 한국 교회는 얼마 전까지만 하더라도 영국 왕 조지 2세가 헨델의 할렐루야에 너무 감동을 받아 기립했다고 믿었습니다. 하지만 그게 사실이었는지에 대해선 좀 따져봐야 합니다. 우선 음악사는 그 사건일 일어난 시점에 대해 의견이 나뉩니다. 어떤 책은 1743년의 런던 초연 때 국왕이 그 자리에서 일어났다고 합니다. 반면에 또 다른 책은 1750년 공연 때 조지 2세가 그 자리에서 일어났다고 주장합니다.

 

믿을 만한 책인 도널드 버로우의 <메시아>는 이 에피소드에서, 진짜 문제는 국왕의 기립 여부가 아니라 참석 여부라고 말합니다. 그는 조지 2세가 헨델의 공연에 마지막으로 참석한 극장 공연이 1743년의 오라토리오 <사울>이었다고 썼습니다. 왕이나 왕족이 공연에 참석하면 신문들이 보도를 했는데, 그래서 아멜리아 공주가 1750<테오도라> 공연에 참석했던 것이 신문에서 확인이 되는 식인데, 국왕 조지 2세가 <메시아>에 참석했다는 아직 확인된 바 없다는 것입니다.

 

 

 

 

 

물론 버로우의 말 또한 섣불리 사실로 단정하기엔 이릅니다. 중요한 점은, 국왕의 기립 여부가 확실치 않음에도 280여 년이 지난 대한민국에서는 이 곡이 연주될 때 일어나지 않으면 안 되는 것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의외로 만다는 점입니다.

 

<메시아>가 작곡된 지 몇 백 년이 지났더라도 아직 국왕이 존재하는 영국에서라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영국에서는 헨델의 할렐루야가 연주될 때 일어서는 것이 앉아 있는 것보다 더 자연스러울 수 있단 이야기입니다. 하지만 대한민국에서 300여 년 전의 영국 국왕이 기립했다는 이유 때문에 우리도 일어나야 한다는 주장은 한 마디로 촌스럽습니다. 때문에 이 곡이 연주될 때 일어나지 않는 교인들을 보면서 눈을 아래로 까는 교인들을 목격하면 부아가 치밀어 오르려고 합니다.

 

헨델의 <메시아>가 너무 좋고, “영국 국왕조차 일어났는데 하물며 내가라고 생각해서 일어나겠다면야 누군들 말리겠습니다. 그야말로 그건 그 사람이 알아서 할 문제입니다. 그러나 사실 관계도 분명치 않은데 영국 국왕이 기립했으니 우리도 일어서야 한다고 생각하는 교인이 있다면 그 사람의 할렐루야역시 유감입니다.

 

 

4.

서울의 한 대형교회에서는 부활절이나 성탄절 때 찬송가 대신 헨델의 할렐루야를 축도 전 찬송으로 모든 교인이 합창합니다. 회중 찬송이라 그런지 이 어려운 곡에 성가대 지휘자도 나서지 않습니다. 고난도의 합창곡인 할렐루야를 예배의 회중 찬송으로 채택할 수 있다는 사실이 대단해보이긴 합니다. 하지만 30년 이상 성가대 지휘를 한 제가 보기에 아직 한국 개신교의 음악 수준이 거기까지 가진 못했습니다. 일반 교인은 차치하고 성가대원을 상대로 설문조사를 하더라도 연습 없이 헨델의 할렐루야가 가능한 한국 개신교 성가대원이 절반을 넘을 수 있을까요? 저는 자신이 없습니다. 그건 당신이 너무 질 낮은 성가대만 지휘했기 때문에 현실을 모르는 것이라고 한다면 차라리 낫겠습니다.

 

 

 

 

설사 일반 교인들 대다수가 헨델의 할렐루야를 파트별로 부를 실력이 된다 하더라도 회중 찬송의 선택 기준으로 다수결은 곤란합니다. ‘할렐루야를 감격적으로 찬양할 수 있는 80퍼센트의 교인이 아니라 그 시간에 앞 순서에서 받은 은혜와 감격을 잃게 될지도 모를 20퍼센트의 교인에 대한 배려가 더 중요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안 그래도 예배당에서 기타와 드럼이 성가대를 몰아 낸 1990년대 이후의 한국교회 회중 찬양은 거의 살인적으로 어렵습니다. CCM을 듣고 자란 세대야 별 문제가 없겠지만 60대 이상의 교인들에 그 현란한 리듬과 빠른 템포의 곡을 요구하는 것은 거의 미쳤습니다. 젊은이들끼리만 흥을 내고 부를 곡을 예배 회중 찬양으로 선택하는 교회가 아무리 노인 우대를 말한다한들 그걸 어르신들이 곧이곧대로 듣겠습니까. 물론 예배 회중 찬양이 어렵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그 교회가 노인에 무관심하다고 예단할 순 없겠지만 말입니다. ‘할렐루야를 파트별로 부르는 게 불가능한 20퍼센트 교인 중에서 자기 교회가 헨델의 할렐루야를 전 교인이 합창할 수 있다는 사실에 무한 긍지를 느끼기 때문에 자신은 어때도 괜찮다고 생각할 사람이 과연 몇 퍼센트나 될까요.

 

보다 큰 문제는 매년 절기 때마다 할렐루야를 찬양하는 그 교회의 대다수 교인들이 각각 다른 건물에서 스크린 예배를 드린다는 점입니다. 눈으로 지휘자를 보고 귀로는 성가대가 앞에서 리드하는 소릴 들으면서 불러도 될까 말까한 곡인데, 교인들끼리만 스크린을 보며 부른다? 곡이 중간에 꼬이든 말든 그런 대곡을 함께 불렀다는 게 더 의미 있는 게 아니겠느냐, 라고 반문하신다면 어쩌겠습니까. 입을 다물어야지!

 

그 교회가 왜 이런 무리가 따르는 회중 찬송 선택을 계속하느냐고 묻진 않겠습니다. 궁금하지 않아서가 아니라 혹시 질문을 하더라도 노코멘트 하겠다는 이야기입니다. 벅찬 감동으로 할렐루야를 부르게 될 날이 언제일까요. 그런 날이 저 하늘에서가 아니라 여기서 가능할 수 있을까요.

 

지강유철/양화진문화원 선임연구원, 《장기려, 그 사람 저자》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