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종호의 '너른마당'

“시인의 마음으로” 살아가는 일

by 한종호 2017. 1. 16.

한종호의 너른마당(57)

 

“이 땅을 시인의 마음으로” 살아가는 일

 

겨울이 난데없이 덮친 느낌을 줍니다. 그러나 겨울은 추워야 하고, 그러면서 봄을 준비하는 시간이 익어갈 겁니다. 여름에 자신을 한껏 자랑하던 초목도 겨울에는 겸손하게 몸을 털고 벌거벗은 존재의 본래 알몸으로 돌아가 하늘의 생명을 받아 새로이 태어나는 기쁨을 누리게 될 것입니다.

 

그런데, 아무리 겨울이 추운 것이 정상이라도 춥지 않은 겨울을 나고 싶은 것은 사람들 모두의 마음입니다. 길거리에 내버려진 채 겨울을 나보라고 하면 누가 그걸 기꺼워하겠습니까? 누구도 돌보는 이 없이 찬 바닥에서 홀로 두렵게 잠을 자야한다면 그 또한 겨울의 잔혹함을 더욱 깊게 느낄 수밖에 없는 일이 될 것입니다.

 

“시냇가에 심은 나무”와 “궁성의 부”

 

역사는 강자가 써나가는 것 같지만, 성서는 그렇지 않다고 말합니다. 세상은 강자의 편에 붙어사는 것이 지혜라고 가르치지만 성서는 아니라고 고개를 젓습니다. 현실은 대세를 쥔 쪽에 서라고 하지만, 성서는 거기에서 빠져나오라고 합니다. 그래서 시편 1편은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복 있는 사람은 악의 꾀를 따르지 아니하며, 죄인의 길에 들어서지 아니하며, 오만한 자들의 자리에 함께 앉지 아니하며,” 

 

세상을 약삭빠르게 사는 꾀가 많고, 강하고 부해져서 오만해진 자들이 모든 것을 쥔 것 같지만 복 있는 사람은 그런 길을 따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는 비록 현실대세로 보면 초라한 것 같고 대단할 것도 없는 자처럼 보이지만 그의 삶은 시냇가에 심은 나무처럼 철따라 열매를 맺고 하는 일 마다 잘 될 것이라는 겁니다.

 

“시냇가에 심은 나무”와 “궁성의 부”를 비교해보면 시냇가의 나무는 아무 것도 아닌 듯싶습니다. 하지만 하나님은 시냇가에 심은 나무가 드러내 보이는 생명의 힘을 소중히 여기는 이에게 축복을 내리신다고 하십니다. 그런데 사람들은 이런 삶을 가난하다고 여기고, 힘없다고 생각하면서 내버리고 맙니다. 그건 착각이 아닐까요? 강하고 부한 것만을 추구하는 이들이 세상에선 막강하게 보이지만 아니라는 것입니다.

 

“그러나 악인은 그렇지 않으니, 한갓 바람에 흩날리는 겨와 같다.”

 

바람이 불면 그 운명의 실체가 폭로됩니다. 지금은 강성한 것 같지만 생명과 사랑의 바람이 불면 그 정체는 겨우 속이 빈껍데기 겨와 다를 바 없다는 것입니다. 이걸 깨닫지 못하면, 심판 받을 그 날에 고개를 들지 못하며 의인의 모임에 들 수 없는 비극에 처하게 된다고 경고하고 있습니다.

 

하나님의 축복을 굳게 믿는 이들은 세상의 대세에 휘둘리지 않습니다. 주도권을 가지고 있다고 여기는 강자나 부자들의 오만에 압도당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시편 23편에 적힌 바대로 그는 “내가 비록 죽음의 그늘 골짜기로 다닐지라도 주께서 나와 함께 계시고 주의 지팡이와 막대기로 나를 위로케 해주시니 내게는 두려움이 없습니다.”라고 고백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뿐만이 아닙니다. 시편 35편에는 악한 권세를 향해 하나님의 질타가 있기를 이렇게 기원하고 있습니다.

 

 “까닭 없이 구덩이를 파고 그물을 쳐서, 이유 없이 내 생명을 묻으려는 저 사람들, 저 사람들에게 멸망이 순식간에 닥치게 하시고 자기가 친 그물에 자기가 걸려서 스스로 멸망하게 해주십시오.”

 

 참으로 두렵고 떨리는 기원이 아닐 수 없습니다. 그러나 억울하게 당하고 힘없이 희생되고 있는 이들의 입장에서는 너무나도 바라는 바가 아닐 수 없습니다.

 

하나님은 누구십니까? 시편 40편은 다음과 같이 고백합니다.

 

“주께서 나를 절망의 구덩이에서 건져주시고, 진흙 수렁에서 나를 건져 주셨네. 내가 반석을 딛고 서게 해주시고 내 걸음을 안전하게 해주셨네.”

 

 

 

 

특별시 사람들

 

2007년에 만들어졌으나 개봉하지 못하고 유랑하고 있는 영화가 하나 있습니다. 2009년 부산 국제 영화제와 서울에서 있었던 국제 가족 영화제에서 선을 보였던 박철웅 감독의 <특별시 사람들>입니다. 강남의 고급 고층 아파트 숲 속 한 편에 있는 달동네 이야기입니다. 영화는 전혀 거칠지 않게 이 현실을 우리들에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재개발을 둘러싸고 일어나는 갈등, 그러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사는 이들의 모습, 그러면서 이들의 처지를 이용해먹는 자들의 악덕 등이 고발되어 있습니다. 특별시에 살고 있지만 전혀 특별하지 못한 이들의 슬픔과 아우성이 여기에 들어 있습니다.

 

오늘날 무수한 사람들이 강하고 부한 것을 열망하면서 그 기회를 독점하려는 자들의 탐욕과 야망과 죄와 교만과 차별 등이 만들어놓은 질서의 그물망에 걸려서 허우적거리고 있습니다. 그래서 그 그물망을 찢고 그로써 고난 받고 있는 사람들의 고단한 영혼을 해방시켜야 하는데 그런 일에는 나서지 않고 있으니 그런 교회를 향해 회의가 생기지 않을 리 없을 것입니다. 자신들은 끼리끼리 잘 모이면서, 이웃을 위해 나서야 하는 궂은 자리에는 가지 않는 이기적 신자들의 모형이 한국사회의 비신자들의 마음을 차지하고 있다는 사실을 우리들은 뼈저리게 깨우쳐야 할 것입니다.

 

2016년 지난해도, 가난한 이들은 여전히 가난하고 힘이 없는 이들은 여전히 힘이 없이 억울한 일들을 많이 당하고 살았을 것입니다. 교회는 이들을 위한 희망의 거처가 과연 얼마나 되어주고 있는 것일까요? 거대 교회, 이른바 메가 처치가 되기 위한 야망에만 집중하고 있는 한국교회는 자신의 이웃이 누구인지 돌아볼 겨를이 없는 것만 같습니다. 교회는 시장이 되고, 권력이 되어가고 있으며 의로운 시인들을 추방하고 있지 않은가요?

 

악인의 삶은 아무리 유혹적이어도 그건 어디까지나 악인의 삶일 뿐입니다. 성서의 시인들은 이 선과 악의 분별에 민감했습니다. 그런 마음을 잃어버리고 있는 한국교회는 시편의 마음을 읽어내지 못하고 말 것입니다. “이 땅을 시인의 마음으로” 살아가는 일은 따라서 하나님의 사랑과 의로 이 세상을 돌이키자는 것과 다를 바 없습니다. 결국 바람에 흩날리는 겨와 같은 신세가 되고 말 것인지, 아니면 시냇가에 심은 나무처럼 철따라 열매를 맺고 그 영혼이 시들지 않으며 하는 일마다 하나님의 마음에 맞는 그런 축복을 바랄 것인지, 우리가 하기에 달려 있습니다. 추운 겨울, 봄을 맞이하는 이 생명의 마음이 매일 아름답게 자라났으면 좋겠습니다.

 

한종호/꽃자리출판사 대표

댓글